loading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보청기 국가보조지원금 받는 방법

보청기를 구매할 때 국가지원을 받을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시나요?? 이 글로 도움되셨으면 합니다. ^^ 보청기 구매시 국가보조지원금 받는 범위 최대 131만원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기준금액 111만원을 기준으로, 건강보험대상자는 10%를 본인부담금으로 내야하며,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은 본인부담금 없이 111만원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만약 보청기 금액이 111만원이 넘는다면, 111만원을 제외한 나머지 금액은 본인이 부담해야 합니다. 참고로 정부에서 지정한 보청기만 구매할 수 있다는 것을 알고 계시길 바랍니다. 1. 국가보조지원금 받을 수 있는 자격 청각장애진단을 받은 사람 (청각장애의 등급은 상관없습니다) 2. 청각장애진단을 받는 방법 특수청력검사가 가능한 이비인후과에 방문해서 ..

카테고리 없음 2022. 6. 6. 22:30
희망두배 청년통장

희망 두배 청년 통장이란??? 매월 저축한 금액과 동일한 금액을 적립*지원해줍니다. . . 희망 두배 청년 통장은 서울시 거주 근로청년이 매달 10만 원 또는 15만 원을 2년 또는 3년간 저축하면 본인이 저축한 금액과 동일한 금액을 추가로 지원을 하는 아주 통 큰 사업입니다. 1. 신청기간 : 2022년 6월 2일 목요일 ~ 6월 24일 금요일 2. 모집대상 : 2022년 5월 23일 기준, 서울시 거주 만 18세~만 34세 근로 청년 (1987.1.1~2004.12.31 출생자가 해당됨) 3. 신청자격 : 2022년 5월 23일 기준, 본인 근로소득 세전 월 255만 원 이하, 부양의무자(부모 또는 배우자)의 소득 1억 원 미만(세전 월평균 834만 원), 재산 9억 원 미만. 4. 신청방법 : 주소..

카테고리 없음 2022. 6. 3. 21:58
5월 정부지원금

새로운 정책이 시작되면서 5월부터 바뀌는 지원 정책을 소개합니다. 1. 코로나 관련 - 검사대상 : 코로나 검사와 역학조사의 대상자가 고위험군 중심으로 변경됩니다. 흔히 받던 PCR검사도 60세 이상 고령자 및 고위험군, 요양병원이나 시설에 종사하고 있는 사람들에 한해서 실시하게 됐습니다. 일반인들이 만약 코로나 검사를 받고자 한다면, 동네 의원이나 병원에 내원하면 전문가용 신속항원 검사를 받을 수 있게 됩니다. - 코로나 검사비용 : 국가지원으로 5천원으로 검사가 가능했지만, 5월 23일(예정)부터는 개인부담으로 바뀌면서, 건강보험료를 적용한 나머지 비용은 개인이 지불하게 됩니다. - 코로나 치료비용 : 국가에서 치료비를 부담했었지만, 5월 23일(예정)부터는 치료비를 축소 지원합니다. - 코로나 진료..

카테고리 없음 2022. 5. 1. 16:54
거리두기 해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서는 4월 18일부터 적용되는 사회적 거리두기 개편안을 발표했습니다. 약 2년 만에 거리두기가 해제되는데요. 상세하게 안내해드리겠습니다. 1. 마스크 착용은 지금처럼 같은 기준으로 적용합니다. 5월 1일까지 지켜본 후 실외 마스크 해제 여부를 검토할 방침입니다. 다만 실내 마스크 착용은 감염 방지를 위해 한동안 계속 유지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2. 사적모임 인원 제한, 식당 영업시간의 제한을 4월 18일에 해제했습니다. 3. 콘서트 등 300명 이상의 대규모 공연과 스포츠 대회 등이 정상 진행됩니다. 그간 경기장과 공연장에서 소리를 지를 수 없고 박수만 칠 수 있었는데, 이제는 육성을 내도 처벌 대상이 아니라 권고 대상 정도라고 합니다. 4. 영화관이나 종교시설, 공연장 좌석을 띄어앉..

카테고리 없음 2022. 4. 21. 03:02
이전 1 ··· 17 18 19 20 21 22 23 ··· 29 다음
이전 다음

티스토리툴바

이메일: help@abaeksite.com | 운영자 : 아로스
제작 : 아로스
Copyrights © 2022 All Rights Reserved by (주)아백.

※ 해당 웹사이트는 정보 전달을 목적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금융 상품 판매 및 중개의 목적이 아닌 정보만 전달합니다. 또한, 어떠한 지적재산권 또한 침해하지 않고 있음을 명시합니다. 조회, 신청 및 다운로드와 같은 편의 서비스에 관한 내용은 관련 처리기관 홈페이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