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리는 밖에서 들려지는 결과물입니다. 몸 안에서가 아닌 몸 밖에서의 결과물이란 것입니다. 중학교 음악교과서에 실린 소리의 3요소에 대해서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아래의 사진은 음악교과서에서 직접 발췌했으며 소리와 음악의 상관관계에 대해 궁금하신 분들은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소리의 3요소, 소리와 음악의 관계 소리는 곧 진동이다 소리는 곧 진동이기 때문에 그 진동을 유연하고 효과적으로 일으키는 것에 집중할 수록 소리가 잘 나게 되어있습니다. 그 방법은 근육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것은 소리의 전달력과도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소리의 진폭이 크면 강한 소리, 작으면 약한 소리 소리의 진폭이 클수록 강한 소리가 나고, 작을 수록 약한 소리가 납니다. 사실 엄밀히 말하자면 큰 소리가 강한 소리라고..

우리 아이 노래 뽐내고 100만 원 받자!! 2명에게 100만 원 상당 백화점 상품권 2명 중 1등에겐 덤으로 스페셜 선물까지 증정!!! SBS 라디오 방송 에서 큰 이벤트가 시작됐어요. 전국의 끼쟁이 흥 쟁이 우리 귀여운 짱구, 짱아들의 노래 솜씨를 아침창에서 뽐내보세요. 참여 기한 4월 4일부터 4월 11일까지 업로드 완료 참여대상 10살 미만의 어린이라면 모두 신청 가능합니다. 노래 장르 동요, 만화 OST, 트로트, 팝송, 재즈, 가요 등 장르 구분 없습니다. 참여방법 본인 인스타그램에 '#아침창 노래자랑'을 태그하고 영상이나 음성파일을 직접 올리면 완료!! 참고로, 영상이나 음성파일 맨 앞에 멘트를 공통적으로 넣어야 하는데요, "안녕하세요. 저는 O살, OOO입니다. 제가 부를 노래는 OOO입니..

오페라(OPERA) 오페라는 이탈리아어로 작품이라는 뜻을 갖는다. 음악을 연주하며 연극을 하는데 이때 무대장치, 의상, 미술 요소를 사용한다. 오페라의 대본은 리브레토라고 부르는데, 거의 대부분이 선율이 있는 연극 대본이다. 오페라는 앞서 설명했듯이 시, 연극, 음악이 모두 하나가 되어 이루는 작품인데, 1600년경에 처음 시작되어 17세기, 18세기에 중요한 장르가 되었고, 지금까지도 마니아층이 있을 만큼 중요한 장르로 남아있다. 오페라(OPERA)의 탄생을 문화적 배경으로 살펴보기 첫번째 관점으로는 오페라는 고대 그리스의 비극을 근대적인 방식으로 다시 살리기 위한 시도라고 할 수 있고, 처음부터 끝까지 노래로 연주하여 음악이 심리적, 정서적인 효과를 도출했다. 두 번째 관점으로는 오페라는 본래 존재하..

'나무에 아주 친구가 없는 것은 아니다'라는 부분의 전제는 무엇일까?? 정답은, 2번. '나무는 고독한 존재다'입니다 고독한 존재라는 것을 기본으로 깔고 있죠, 즉 그것을 전제로 합니다. 그 이유는 예를 들어 설명하겠습니다. 예를 들어 제가 상대방에게 '넌 아주 나쁜 사람은 아니구나?'라고 말할 때 일단 그 사람이 나쁜 사람이라는 걸 전제로 하고, 너 알고 봤더니 아주 '100% 나쁜 사람은 아니네'라고 하는 거죠. 다시 문제로 돌아와서 '나무에 아주 친구가 없는 것은 아니다'의 전제는 '나무는 친구가 없다' = '고독한 존재다' 이게 될 수 있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