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3년 1월부터 영아를 키우는 가정에게 부모급여를 지원합니다. 최대 월70만원까지 받을 수 있으며 각 자격별로 지원금액이 달라지니 아래 내용을 잘 확인해보시고 1월 25일에 꼭 신청하시길 바랍니다. 부모급여를 처음 받기 위해서는 아동의 출생일을 포함해 60일 이내에 신청해야 하는데, 생후 60일이 지난 후 신청하는 경우에는 신청일이 속한 달부터 받을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1. 부모급여 지급 금액 만 0세가 되는 아동은 월 70만 원 지급되며 만 1세가 되는 아동*은 월 35만 원 지급됩니다. * 2022년 이후 출생아부터 적용(’22년 도입된 영아수당 지급계획과 동일) 그리고 2024년부터는 지원금액이 확대되어 만 0세 아동은 월 100만 원, 만 1세 아동은 월 50만 원을 받게 됩니다. 만약..

2023년, 정부에서 청년 자산형성 지원을 위해 청년도약계좌를 출시합니다. 최대 5천만원의 목돈을 만들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으니 미리 신청조건을 알아보고 준비해두시는 것이 유리합니다. 내년 ’23년 6월에 상품 출시를 추진할 예정이며, 만 19~34세 청년 중 개인소득과 가구소득 기준을 충족하는 청년을 대상으로 가입할 수 있도록 운영할 계획입니다. 가구소득 기준 : 개인소득 6,000만원 이하, 가구소득 중위 180% 이하 대상 : 상품 세부사항 향후 발표 청년도약계좌는 가입자는 월 최대 70만원을 기준으로 5년간 납입하면, 만기 때 약 5천만원을 받을 수 있게 됩니다. 이 때 정부가 개인에게 지원하는 금액은 납입액의 최대 6%정도입니다. 대통령이 처음 공약으로 내세운 건 일명 목돈 1억만들기 통장이었..

정부에서 발표한 2023년 경제정책방향에 따르면 민생경제 전반에 걸쳐 어려움이 심화될거라 예상합니다. 아래 자료를 참고하셔서 꼭 ! 내년을 미리 대비하시길 바랍니다. ↓↓↓↓↓↓↓ 2023년에는 주요국의 가파른 금리인상으로 인해 유럽 에너지 수급불안 등으로 세계경제 성장세가 크게 약화 될 전망입니다. 내년 상반기까지 성장 부진이 이어지다가 하반기로 갈수록 금리인상 영향이 완화되면서 회복 흐름이 예상됩니다. 많이들 걱정하시는 물가의 흐름 또한 오름세가 점차 둔화되겠으나 그 속도는 완만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2023년 상세 경제 전망을 크게 경제 성장, 고용, 소비자물가로 살펴보겠습니다. 1. 경제성장 1) 민간소비 '22년 4.6%, '23년 2.5% 증가 전망 ㅇ('23년) 소비 회복 흐름은 이어지겠으나..